결혼 준비에서 가장 민감하면서도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예물’과 ‘예단’입니다. 단순한 선물의 개념을 넘어서 양가의 신뢰와 존중, 그리고 상호 예의가 담긴 상징적인 절차이기 때문에, 준비 과정에서 섬세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첫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부부와 부모님에게는 예단 예물의 관습, 예산, 절차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부담을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예물과 예단의 기본 개념부터 준비 순서, 비용 조율법, 실속 있는 선택 방법까지 신혼부부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만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예물 예단의 개념과 준비 시기
예물은 결혼을 앞둔 신랑과 신부가 서로에게 주는 선물로, 주로 귀금속, 시계, 반지 등이 포함됩니다. 예단은 신부 측에서 신랑 집에 보내는 선물로, 보통 한복, 이불, 생활용품, 예단비 등이 포함되며, ‘예를 다해 인사드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이러한 전통이 간소화되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바뀌고 있으며, 양가의 상황과 가치관에 따라 예단을 생략하거나 예물만 교환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예단과 예물은 ‘형식보다 마음’이라는 관점에서 존중받고 있습니다.
예단/예물 준비 시기:
- 결혼식 2~3개월 전: 양가 상견례를 통해 예단 여부와 범위, 예물 교환 방식 등을 조율
- 결혼식 1~2개월 전: 예물 계약 및 예단품 준비 본격화
- 결혼식 2~3주 전: 예단 전달 및 예물 교환
2. 예물 준비 방법 및 실속 있는 구성
예물은 보통 신랑이 신부에게 반지, 목걸이, 귀걸이 등의 귀금속을, 신부가 신랑에게 시계나 커프스, 반지를 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최근에는 ‘커플 예물’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고르는 방식이 늘고 있으며, 과시용보다는 의미와 실용성을 중시한 선택이 많습니다.
예물 구성 예시 (신부용):
- 결혼반지(커플링): 100만~300만 원
- 다이아몬드 반지: 200만~500만 원 이상 (선택 사항)
- 목걸이, 귀걸이 세트: 150만~300만 원
예물 구성 예시 (신랑용):
- 시계: 200만~500만 원 (브랜드 및 취향에 따라 상이)
- 반지 또는 커프스: 50만~150만 원
예물 준비 팁:
- 백화점 브랜드 외에 귀금속 공방, 금은방, 온라인 주얼리샵 등을 통해 30~40% 예산 절감 가능
- 예물 구성은 커플이 함께 방문하여 선택하는 경우 만족도가 높음
- 계약 시 반드시 감정서, 품질보증서, AS 가능 여부 확인
최근에는 예물 대신 ‘공동 가전구입’, ‘신혼여행 비용 분담’ 등으로 예산을 대체하는 추세도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양가의 합의이며,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감정 소모를 줄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3. 예단 구성과 예단비 조율 방법
예단은 전통적인 방식에 따라 준비할 수도 있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간소화할 수도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예단 구성은 한복, 예단비(현금), 혼수용품(이불세트, 반상기 등)이며, 지역이나 집안의 문화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예단 기본 구성:
- 예단비: 일반적으로 신랑 측 부모님께 드리는 용돈. 금액은 300만~1000만 원 수준 (지역 차이 큼)
- 한복: 신랑 부모님용 맞춤 한복 (일반적으로 신부 측이 준비)
- 이불/혼수세트: 전통혼례 느낌을 살린 혼수 아이템 (간소화 추세)
- 예단함: 보자기와 함께 포장된 예단을 담는 전통 상자 (디자인 다양)
예단 간소화 방법:
- 예단비는 양가 협의 하에 금액을 줄이거나, 문화상품권, 백화점 상품권 등으로 대체
- 한복은 기존 보유한 한복으로 대체하거나 렌탈 이용
- 이불세트는 실용적인 브랜드 침구로 구성해 만족도 상승
요즘은 ‘예단 생략’, ‘현금 전달 없이 상징적인 선물만 준비’하는 방식도 많습니다. 관건은 양가 부모님과의 충분한 소통이며, 부담 없이 준비할 수 있도록 조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필요한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상견례 자리에서 예단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꺼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론
예물과 예단은 단지 전통이나 형식을 지키기 위한 준비물이 아닙니다. 결혼이라는 새로운 인생의 출발점에서, 서로를 존중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담는 소중한 절차입니다. 예산이나 준비 방식은 달라도, 그 안에 담긴 진심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양가의 상황과 시대의 변화에 맞게 유연하게 조율하고,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는 결혼 준비가 더 의미 있는 첫걸음을 만들어줄 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부담 없이, 그러나 마음은 충분히 담긴 예물 예단 준비를 해보시길 바랍니다.